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제로 데이’는 로버트 드 니로가 전직 미국 대통령 역할을 맡은 정치 스릴러예요.
사이버 테러가 미국을 혼란에 빠뜨리면서, 전 대통령 조지 멀렌이 이를 해결하려고 나서는데,
알고 보니 이게 단순한 해킹 사건이 아니라 엄청난 음모와 연결돼 있죠.
현실에서 충분히 일어날 법한 이야기라 더 몰입감이 장난 아니고, 권력과 미디어, 음모론이 뒤섞인 긴장감 넘치는 전개가 특징이에요.
거기에 로버트 드 니로의 연기까지 더해져서 몰입도가 확 올라갑니다.
총 6부작이라 길지도 않아서 주말에 한 번에 정주행하기 딱 좋아요. 사회 지도층의 책임과 대중을 선동하는 힘 같은 걸 깊이 생각해보게 만드는 작품이니, 정치 스릴러 좋아하는 분들한테 강추!
나는 보통 끌려서 주행을 시작하면 시즌이 몇까지 있는지 , 해당시즌별로 몇화까지 있는지 최대한 안보려고 노력한다
그 작은것들도 하나의 스포일러가 되고 몰입을 깬다고 생각하기에
어쨋든 제로데이를 보면서 , 그리고 미국의 정부와 관련된 드라마를 많이 보면서 궁금해졌다
미국은 상원의원 하원의원 등 우리나라와는 다른 구조인듯한데 어떻게 다른걸까?
항상 헷갈린다
미국은 양원제로 상원 + 하원으로 나뉜다
그럼 왜 나뉘어져 있는걸까?
gpt야 알려줘!
미국 의회가 **상원(Senate)과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으로 나뉘어 있는 이유는 역사적인 배경과 권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야. 이를 이해하려면 미국이 처음 연방정부를 만들 때 있었던 **대타협(The Great Compromise, 1787년)**을 알아야 해.
왜 상원과 하원이 나뉘어 있을까?
1787년 미국 헌법을 만들 당시, 큰 주(인구 많은 주)와 작은 주(인구 적은 주) 사이에 의회 구성 방식을 두고 갈등이 있었어.
• 큰 주(버지니아 플랜) → “인구가 많은 주가 더 많은 대표를 가져야 한다!”
• 작은 주(뉴저지 플랜) → “모든 주가 동등한 대표권을 가져야 한다!”
결국 대타협을 통해 **양원제(Bicameral System)**를 채택했어.
1.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 → 주의 인구 비례로 의원 수 배정 (큰 주 유리)
2. 상원(Senate) → 모든 주에 **동일한 수(2명)**의 의원 배정 (작은 주 보호)
이렇게 해서 큰 주와 작은 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절충안을 만든 거지.
쉽게 말하면?
• 하원: 국민의 의견을 빨리 반영하는 곳 (국민의 목소리, 단기적·즉각적 반응)
• 상원: 신중하고 깊게 고민하는 곳 (국가적 균형, 장기적 결정)
하원은 민심을 즉각 반영하는 성격이 강하고, 상원은 국가적으로 신중한 검토를 하는 역할을 해. 예를 들어 대통령이 장관을 임명할 때, 상원이 검토하고 승인하는 이유는 성급한 결정을 막고 국가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야.
결국 상원과 하원이 균형을 맞추면서 법을 만들고 정부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는 거지! ⚖️
그러면 대통령은 그러면 상원과 하원 어디랑 같은편이라고 할 수 있을까?
🧐 왜 대통령이 상원과 더 가까울까?
1️⃣ 대통령의 중요한 결정 = 상원의 승인 필수
✅ 대통령이 임명하는 대법관, 장관, 외교관 등은 상원의 동의를 받아야 함.
✅ 외국과 체결하는 조약도 상원에서 2/3 찬성이 필요함.
💡 즉, 대통령이 국정 운영을 하려면 상원의 협조가 필수!
2️⃣ 상원의원 = 더 길고 안정적인 임기 ⏳
📌 상원의원 임기 6년 → 정책의 연속성이 있음.
📌 하원의원 임기 2년 → 짧아서 정권 변화 영향을 더 많이 받음.
💡 대통령도 **4년 임기(최대 8년)**이라 짧은 하원보다 장기적으로 협력할 가능성이 높은 상원과 더 잘 맞을 수 있음!
3️⃣ 상원의원 출신 대통령이 많음 🎓
🗳️ 미국 대통령은 보통 상원의원 출신인 경우가 많아!
• 바이든(상원의원 출신)
• 오바마(상원의원 출신)
• 케네디(상원의원 출신)
📌 반면, 하원 출신 대통령은 거의 없음!
💡 즉, 대통령이 상원과 더 친밀한 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높음.
4️⃣ 탄핵 절차에서도 상원이 더 큰 영향력❗
🚨 하원 → 대통령 탄핵 소추(기소) 가능
⚖️ 하지만! 실제로 탄핵을 심판하고 최종 결정하는 건 상원!
💡 즉, 대통령은 상원이 자기 편일 때 더 안전함.
📢 그럼 하원은 대통령과 대립하는 편일까?
📌 하원은 국민의 의견을 더 직접 반영하는 곳이야.
📌 대통령이 인기가 없거나 반대당이 하원을 장악하면, 대통령과 대립하는 경우가 많음.
📌 특히, 예산안은 하원이 먼저 심사하기 때문에, 하원이 반대하면 대통령이 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기 어려워질 수도 있음.
🏆 결론!
✅ 대통령은 하원보다 상원과 더 같은 편!
✅ 하지만, 대통령의 정당과 의회의 다수당이 다르면 상원도 대통령을 견제할 수 있음.
✅ 하원은 민심을 빠르게 반영해서, 대통령과 대립하는 경우가 많음.
📌 그래서 대통령이 여당이 상원을 장악하는 걸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